먹 (93) 썸네일형 리스트형 먹 - 한자사전(5) 炭素墨 탄소묵 탄소(炭素) 가루로 만든 먹 海州 해주 ... 수산물(水産物), 임산물(林産物), 공산물(工産物) 등(等)이 성(盛)함. 특수(特殊) 공예품(工藝品)으로 먹ㆍ벼루가 제조(製造)됨. 명승(名勝)ㆍ고적(古蹟)으로는... 水墨畵 수묵화 동양화(東洋畵)의 일종(一種). 채색(彩色)을 쓰지 아니하고 먹의 짙고 .. 먹 - 한자사전(4) 白描畵 백묘화 하나의 작품(作品)을 먹의 선만으로 그리는 단색화. 약간 담채(淡彩)를 가(加)한 것도 있음. 당(唐)나라 때의 오 도현(吳道玄)이 표현(表現) 양식(樣式)을 완성(完成)하여... 粉黛 분대 분을 바른 얼굴과 먹(눈썹연필)으로 그린 눈썹. 아름답게 화장(化粧)한 미인(美人)의 비유(比喩) 四寶 사.. 먹 - 한자사전(3) 紙筆硯墨 지필연묵 종이ㆍ붓ㆍ벼루ㆍ먹 斷簡零墨 단간영묵 종이가 발명(發明)되기 전까지 종이 대신(代身) 썼던 대쪽과 먹 한 방울이라는 뜻으로, 종이 조각에 적힌 완전(完全)하지 못한 조각난 글월을 이르는 말 漏斗 누두 ①깔때기 ②낙지나 문어 따위 외투강(外套腔) 속의 물이나 먹 같은 것을 내뿜.. 먹 - 한자사전(2) 硯屛 연병 바람, 먼지, 먹 등(等)이 튀는 것을 막기 위(爲)하여 벼루 머리에 치는 작은 병풍. 흔히 옥이나 쇠, 또는 도자기(陶瓷器)로 만들며 붓시렁을 겸(兼)한 것도 있음 硯床 연상 벼루, 먹, 붓, 연적, 종이 따위를 넣어두는 조그만 책상 藥王鬼 약왕귀 음력(陰曆) 섣달 그믐날 밤에 하늘에서 내려와 자.. 먹 - 한자사전 芳墨 방묵 ①향내나는 좋은 먹 ②'남의 편지(便紙)'의 높임말 烏金 오금 ①구리에 1∼10%의 금을 섞은 합금(合金). 검붉은 빛인 데, 장식품(裝飾品)에 쓰임 ②'적동'의 다른 이름 ③'철'의 다른 이름 ④'먹'의 다른 이름 朱墨 주묵 붉은 색의 먹 紙筆墨 지필묵 종이, 붓, 먹. 곧 필기(筆記) 용구(用具) 形態音.. 먹으로 물들이기 글/차 정금(샘이깊은물 발행인) 사진/하 지권(샘이깊은물 사진 기자) 먹을 재료로 염색을 하려고 먹, 벼루 들을 챙기다 보니 문득 사십여 년 전 초등학교 육학년 때 미술 시간이 생각났다. 미술 시간에 서예를 하는 시간이면 신문지를 팔절 크기로 잘라 두툼하게 준비하고 얇은 서예 용지인 습자지와 벼.. 2007 충북민예총 서예 학술 세미나 발표문 사람을 살리는 먹 먹 제조법이 한반도에 전해진 것은 1600여년 전의 것으로 추정 되지만 문헌상의 기록이 없어서 않타갑다. 또한 먹은 제조비법이 공개되지 않아서 먹에 대한 오해가 많이 있다. 벼루같은 돌로 만들거나 액체를 틀에 부어서 비누같이 찍어서 만드는 것으로 아는 사람도 많다. 먹이 이렇.. 觀 墨 - (먹장의 호칭) 먹을 만드는 사람을 먹장(墨匠)이라고 합니다. 이런 명칭이 언제부터 시작 됐는지 알 수 없지만 조선시대 문헌부터 등장하기 시작 합니다. 장인의 기술에 공(工), 또는 장(匠)자를 붙여서 도자기공, 목공,화장,피장, 등으로 기록이 되어 왔는데 고려와 조선 초기엔 먹을 만드는 장인을 묵척(墨尺)이라 했.. 이전 1 ··· 7 8 9 10 11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