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 자료

(13)
온양 민속 박물관
필룩스 조명 박물관 조명 박물관의 조명 공해 전시장 야행성 동물인 부엉이도 조명 공해로 선그라스를 착용해야 될 상황 조명과 관련된 사진을 전시 홍보 예전에 사용했던 조명 조명 공해를 줄이기 위한 조명시설을 설치 의자밑에 조명을 설치한 것 조명 유물 횃대 조명으로 쓴 관솔 젒시 등잔 등잔대 주..
국립 민속박물관 제3전시실 국립 민속박물관 제3전시실 약재를 가는 돌 약 작두 약탕기 약을 짜는 틀 약사발 부적을 찍는 판 꽃상여 만장 수의-원래 수의는 화려하답니다. 남자수의 제사상-천엽도 보입니다.
국립민속박물관 제3전시실 국립민속박물관 제3전시실 입니다. 서신에 싸인도 보입니다. 과거급제 합격 교지 무신 흉배 사모관대 싸인용 낙관 마패 만인산-만명이 떠 받는다는 뜻으로 양산 같이 쓰는 것 문신 흉배 연적과 벼루 벼루와 붓 바둑판과 조개같은 바둑돌 장기판 약재 저울
국립민속박물관 제3전시실 판연 입니다. 서가에 필요한 것들 입니다. 별자리 관한 것입니다. 서당의 모습으로 서당 선생닙 왼편에 계신분이 지금의 반장 입니다. 회초리 혼례관 입니다. 신부가 받는 함입니다. 사주가 적힌 편지 기러기로 신랑댁에서 신부댁으로 보내는 것 얼굴을 가리는 화선 혼례청에서 혼례 가마..
국립 민속박물관 제3전시실 제3전시실 전시물 입니다. 출생으로 금줄이 걸려 있네요. 줄이 3개면 3명이 출생 돌상 앞에서 돌상에 대해 설명 천자문 입니다. 자세히 보면 각 글짜를 다른 사람이 썼고 글짜마다 낙관이 있으며 1000명에게 글을 받아 만든 천자문 글 공부 하던 서책 모래(사판)으로 종이가 귀해 모래위에 ..
중앙 - 7 고려 고려의 대표적 벼루 - 풍자연 고려 청자 목 받침대도 청자 다라니 경 단산오옥 먹- 출토 후 많이 손상된 상태 같습니다..
중앙 - 6 발해 입니다. 왠지 정감이 가는 불상 용머리는 웅장한 맛이 발해의 스케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