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화

(7)
문인화 수업 문인화 수업 풍경 입니다. 오늘은 몇분이 빠지셨네요.... 누구 자리지?? 맨 우측이 늘내 샘...그리고 총무.. 채본 중입니다. 많이 빠진 분이라 진도가 조금 늦습니다...
이형사신의 현대적 의미 이형사신(以形寫神).이는 형상으로써 정신을 그린다는 말로써 동진 때 고개지가 말했다. 그는 정신이라는 것은 객관사물의 형상 가운데 존재하고 정신은 이러한 형상을 통해서 표현하는 것인데, 형상이 없으면 정신이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형상과 정신은 모순의 통일체라고 보았다. 고개지는 그림..
표구 표구란 무엇인가? 표구란 서, 화, 자수,탁본,섬유공예, 사진 등의 작품을 보존, 보관, 전시 또는 완상하기 위하여 족자, 액자, 병풍, 서화첩, 횡권 등으로 표장하는 제반 기술적 방법을 말하며, 넓은 뜻으로는 낡거나 훼손된 작품의 보완과 재생 작업까지도 포함된다. 표구는 원래 일본에서 사용한 용어..
서화 보관 서화 보관법 귀중한 서화가 일시적인 보관상의 잘못으로 손상을 입거나 심한 경우 완전히 훼손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서화는 개인의 값비싼 재산일 뿐만 아니라, 민족의 귀중한 문화 유산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차제에 올바른 보관 법을 터득하여 민족의 문화 유산 관리에 철저를 기하여야 하겠다. ..
서화 보관 서화 보관법 귀중한 서화가 일시적인 보관상의 잘못으로 손상을 입거나 심한 경우 완전히 훼손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서화는 개인의 값비싼 재산일 뿐만 아니라, 민족의 귀중한 문화 유산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차제에 올바른 보관 법을 터득하여 민족의 문화 유산 관리에 철저를 기하여야 하겠다. ..
[스크랩] 문방사우 중 으뜸 벼루 글씨를 쓰기 위한 먹을 가는 용구인 벼루는 문방사우(文房四友)의 제일로 꼽힌다. 중국에서 발명되어 발달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쓰여졌다. 벼루의 종류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벼루의 재질에 따른 분류로 와연(瓦硯), 도연(陶硯), 석연(石硯), 옥연(玉硯), 목연(木硯), ..
[스크랩] 벼루광 유득공 제33호 (2007.2.14) 벼루광 유득공 안 대 회(명지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국의 옛 역사에 관심이 많아 《발해고》를 비롯한 저술을 여럿 남긴 유득공(柳得恭)은 학문적 관심사와 취미가 다양했다. 그가 관심을 기울인 것에는 벼루도 포함된다. 그는 벼루를 많이 가지기도 했고, 또 조선 벼루의 역사를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