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하나의 작품(作品)을 먹의 선만으로 그리는 단색화. 약간 담채(淡彩)를 가(加)한 것도 있음. 당(唐)나라 때의 오 도현(吳道玄)이 표현(表現) 양식(樣式)을 완성(完成)하여... |
|
| ||
분을 바른 얼굴과 먹(눈썹연필)으로 그린 눈썹. 아름답게 화장(化粧)한 미인(美人)의 비유(比喩) |
|
| ||
네 가지의 보배라는 뜻으로, 붓ㆍ먹ㆍ종이ㆍ벼루를 소중(所重)하게 이르는 말 |
|
| ||
조선(朝鮮) 시대(時代) 때 공조(工曹)에 딸린 관청(官廳). 산택(山澤)ㆍ진량(津梁)ㆍ원유(苑囿)ㆍ종식(種植)과 나무ㆍ숯ㆍ돌ㆍ배ㆍ수레ㆍ붓ㆍ먹ㆍ무쇠ㆍ칠그릇 등(等)의 일을 맡아보았음 |
|
| ||
유연을 아교(阿膠)로 굳히어 만든 먹 |
|
| ||
①종이와 먹 ②글자 문자(文字) |
|
| ||
총ㆍ노(櫓)ㆍ호미ㆍ삽ㆍ먹ㆍ양초 따위를 셀 때 쓰는 단위(單位) |
|
| ||
고려(高麗) 때, 각 관아에서 쓰는, 종이ㆍ먹ㆍ붓 등(等)을 사들일 돈과, 그 밖의 잡비(雜費)에 쓰도록 하려고 임금이 내린 공해전(公廨田) 6대 성종(成宗) 2(983)년에 정(定)하였음 |
|
| ||
먹(墨)을 달리 이르는 말 |
|
| ||
①눈썹 그리는 데 쓰는 푸른 먹 ②미인(美人)의 눈썹 ③멀리 바라보이는 푸른 산의 경치(景致) |
'먹'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먹의 어원 (0) | 2008.12.29 |
---|---|
먹 - 한자사전(5) (0) | 2008.12.23 |
먹 - 한자사전(3) (0) | 2008.12.23 |
먹 - 한자사전(2) (0) | 2008.12.23 |
먹 - 한자사전 (0) | 2008.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