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귀전원거

 

                    歸田園居            -陶淵明

種豆南山下(종두남산하)

콩 씨를 남산 아래 심으니

草盛豆苗稀(초성두묘희)

잡초만 무성하고 싹은 드물구나

侵晨理荒穢(침신이황예)

새벽녘부터 잡초를 뽑고

帶月荷鋤歸(대월하서귀)

달빛에 호미 메고 돌아오네

道狹草木長(도협초목장)

좁은 길 초목이 무성하니

夕露沾我衣(석로첨아의)

저녁 이슬 내 옷깃 적신다.

衣沾不足惜(의첨부족석)

옷 젖는 거야 애석할 거 없다마는

但使願無違(단사원무위)

단지 원하는 농사 제대로 되기를...

                    侵晨(침신) : 새벽녘

                    理(이) : 治(치)와 통하여 손질하다

                    荒穢(황예) : 잡초가 무성한 것

                    帶月(대월) : 달그림자와 함께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호승의 산산조각  (0) 2011.12.03
춘야안도이원서  (0) 2009.12.08
헌사 아르테미스 - 오장환  (0) 2009.11.07
THE last train- 오장환  (0) 2009.11.07
꽃의소묘 - 김춘수  (0) 2009.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