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게 필요한 자료

(48)
[스크랩] 위대한 우리의 문화! 고구려 고분벽화자료 위대한 우리문화! 고구려 고분벽화 고구려 장군총 고구려 장군총의 전경. 고구려 옛 수도 집안에 있는 장군총은 초기 피라미드형과 아주 유사하다. [고구려 고분벽화] 장천1호분 장천 1호분 전실 서쪽벽을 가득 채웠던 생활풍속도 부분. `두차례의 도굴로 고구려 생활사 연구의 보고라던 장천1호분 전..
첨성대 자료 한국의 역사 기록에 첨성대라는 명칭이 붙은 천문대는 적어도 세 개나 된다. 첨성대는 오늘날의 천문대와 같은 것이다. 첫 번째 첨성대는 고구려의 평양부에 있었던 것이고, 둘째는 유명한 신라 첨성대이다. 마지막으로 개성에 있는 고려 첨성대이다. 여기에서는 경주에 있는 신라 첨성대에 대해서만 ..
첨성대 '첨성대' 테마검색 관련테마 경주역사유적지구 | 과학문화재 | 성덕대왕신종 | 석굴암 첨성대란 : 신라시대 화강석 석조물로 동양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대 more 첨성의 의미 : 첨성대의 첨 ( 瞻 ) 은 ‘ 우러러보다 ' , ‘ 쳐다보다 ' 라는 뜻으로 ‘ 첨성 ' 은 ‘ 별을 살피다 ' 는 의미 지정종목 : ..
박물관 주소 지구촌민속박물관 준비중-12월 재개설 예정 쇳대박물관 http://www.lockmuseum.org 짚풀생활사박물관 http://www.zipul.co.kr 한국불교미술박물관 http://www.buddhistmuseum.co.kr 세계장신구박물관 http://www.wjmuseum.com 삼성출판박물관 http://www.ssmop.org 떡부엌살림박물관 http://www.tkmuseum.or.kr 티베트박물관 http://www.tibetmuseum.co.kr..
구들 시작>구들이란?>구조와원리 구들의 원리는 인체 하부 가열방식의 바닥난방 방법으로 우리민족의 고유한 생활 문화인 좌식생활 문화를 만들어 냈다. 구들의 활용을 크게 보면 취사와 난방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우리민족만의 독보적인 난방방식이다. 구들의 난방방식은 축열..
전통구들 바닥난방-전통구들 불을 깔고 앉고 불을 베고 눕는다 우리민족은 아랫목에서 출생되고, 자라고, 살다가 늙고, 병들면 그곳에서 장례를 치웠다. 죽은 후에는 대소상은 물론 제삿상이 차려지는 곳이었다. 실로 우리의 아랫목은 우리 민족의 삶의 시작부터 끝까지, 아니 죽은 후에도 머물던 특별한 공간..
한국의 문양 문양은 그 소재와 의미하는 바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용이나 봉황 등 동물을 소재로 할 수도 있으며, 연꽃이나 대나무 등 식물을 소재로 삼을 수도 있다. 식물이나 동물뿐만 아니라 만(卍)자나 수(壽)자를 연속으로 나타낸 문자 무늬나 기하학 무늬도 있으며, 여의두문 같이 자연소재가 아닌 인공물 ..
[스크랩] 서예용어 모음 서예용어 모음 (ㄱ) ◦ 가로쓰기-서제를 가로로 배열하여 쓰는 방법으로 글자의 윗 부분을 맞추어 씀. ◦ 가리개-곡병(曲屛)-두 쪽짜리의 병풍으로 물건을 가리건 구석 장식용 등의 실용적인 목적으로 쓰임. ◦ 간가(間架)-점과 획의 간격을 조형적으로 알맞게 하는 것. ◦ 간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