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묵향

먹에는 향이 없다.

오히려 지아비인 아교 때문에 굽굽한 냄새가 난다.

이 굽굽한 냄새를 없애기 위해서 첨가한 것이 먹향이다.

먹향으로 사용되는 향료는 수백가지, 아니 수천가지 향료를 사용 할 수 있지만 먹에는

주로 3가지 향료를 애용한다.

사향,용뇌, 장뇌

모두 한약재이자 최고의 향료이다.

그 중 사향은 사향노루등의 음낭에서 체취되는 것으로 그 향이 실로 치명적이다.

사향을 애용한 역사적 인물을 보면 이집트의 클레오파트라,프랑스의 조세핀, 조선의 황진이.

모두가 절세의 미인, 흔히 말하는 경국지색은 아닌 것 같다.

하지만 그녀에게서 나는 은은한 향은 한 남자를 사로 잡고 역사를 바꿀 정도였다.

또 다른 향료인 용뇌는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향으로 역사적 인물로는 양귀비가 있다.

양귀비의 인물평은 사람에 따라 각기 다르지만 그 역시 경국지색의 절세 가인 보다는 매력적인

여인 이였던것 같다.  

마지막 하나의 향료는 장뇌가 있다.

장뇌는 역사적 인물이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한국인이 선호하는 향이였던 것 같다.

오래 지속이 되면서도 은은한 향기이다.

먹향!

먹을 갈때 나오는 은은한 향기..

날뜻 말뜻 아련히 나오는 먹의 향기!

나는 오늘.

 가는 눈발이 내리는 성탄절날  저녁에 한잔의 소주에 취해

먹향에 취해 클레오파트라와 함께 이 밤을 보내고 있다.

두잔 술에에 조세핀이 다녀가고,

세잔 술에 황진이가 다녀갔다. 

내일 전주로 시집보낼 먹을 손질하면서 고된 노동속에서 잠시 소주에 취해 본다.

옛 애인에 취해 본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묵자흑 近墨者黑 (1편)  (0) 2010.01.31
여러가지 모양의 먹  (0) 2010.01.05
조선 장인명  (0) 2009.04.11
먹의 어원  (0) 2008.12.29
먹 - 한자사전(5)  (0) 2008.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