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첨성대란 : 신라시대 화강석 석조물로 동양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대 more |
|
첨성의 의미 : |
첨성대의 첨 ( 瞻 ) 은 ‘ 우러러보다 ' , ‘ 쳐다보다 ' 라는 뜻으로 ‘ 첨성 ' 은 ‘ 별을 살피다 ' 는 의미 | |
|
지정종목 : 국보 제31호 |
|
규모 : 높이 9.17m, 윗지름 2.5m, 밑지름 5.17m, 지대석(地臺石) 1변의 길이 5.35m |
|
설립연대 : |
이 임금 때에 돌을 다듬어 첨성대를 쌓았다 ( 是王代鍊石築瞻星臺 ) → ( 삼국유사 )에 선덕여왕 때 건립된 것으로 볼 수 있는 기록이 있음 | |
|
|
소재지 : 경북 경주시 인왕동 839-1 ![](http://image.paran.com/search/theme/cpimg/18/41_11_btn03.gif) |
|
관련정보 : 천문대, 경주 관광안내, 관련뉴스 |
| | | |
|
|
첨성대가 상징하는 것 |
1. 첨성대는 27단 - 선덕 여왕이 신라 제27대 왕이므로 첨성대가 선덕 여왕 때에 만들어진 것이라는 증거의 하나가 됨 |
2. 맨 위에 얹혀진 정(井)자 모양의 돌을 합치면 28단 - 즉 기본 별자리수인 28수를 상징 |
3. 첨성대를 받치고 있는 맨 밑의 기단석을 합치면 29 - 이는 음력의 한 달에 해당 |
4. 몸체 중앙에 난 네모에 창을 기준으로 보면 창 위로 12 단 , 아래로 12 단 - 이것은 일년 열두 달을 가리킬 뿐만 아니라, 이 둘을 합치면 춘분, 하지 하는 24절기를 나타냄 |
5. 첨성대에 사용된 돌의 개수는 대략 365개 - 일 년의 날수 |
6. 첨성대의 기단이 사각형이고 몸체가 원으로 되어 있는 것 -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라는 옛 사상의 표현 (天圓地方思想) | | | |